안녕하십니까? 수고가 많습니다.
입냄새 때문에 동네치과 정기적으로 다니고 있는데요,
평소 치과 선생님이 혀 닦는 걸 강조하셔서 텅크리너를 샀는데 혀 닦을 때 혀의 어디까지 닦아야 할까요?
깨끗이 닦아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평소 구역질을 참아가며 혀 뒤쪽까지(목구멍, 성곽유두 넘어서까지) 닦는데
양치 후에는 괜찮은데, 시간이 지날수록 구강이 치약성분 때문에 잘 마르는 것 같아요.
구강이 마르면 냄새가 유발되는 거죠? 치솔, 텅크리너로 닦을 때 적절한 범위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